LV

Logical Volume 
말그대로 논리볼륨

 

LVM 


Logical Volume Manager 
- 리눅스에서 디스크 관리를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Kernel 의 한 부분

- Physical Disk 를 Logical Volume 으로 추상화하여 스토리지 관리의 유연성을 제공 (기존의 고정된 파티션 방식 보다) 

 

주요 구성 요소

1. Pychical Volume (PV) 

- Physical Disk 나 파티션을 LVM 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초기화한 단위. ex) /dev/sda1 , /dev/sdb1 

2. Volume Group (VG) 

- 여러 PV 를 묶어 하나의 Logical Storage Pool 로 만든 그룹

- Logical Volume 을 생성할 수 있는 베이스

3. Logical Volume (LV) 

- VG 내에서 생성된 논리적 스토리지 단위

- 실제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

 

주요 기능

- LV 크기를 동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 가능

- 여러 Disk 를 하나의 Logical Volume 으로 묶어서 사용 가능

- 특정 시점의 데이터를 캡쳐하여 백업 또는 복구 가능

- 시스템 운영 중에도 데이터를 이동하거나 Disk 를 교체할 수 있다 (?!)

- 성능 향상 또는 데이터 복구를 위한 기능 제공 (Disk striping, Mirroring) - 이건 Disk Raid 할 때 들어본 듯?

2024.04.23 - [OS] - [OS] RAID 종류 및 방식 (0,1,2,3,4,5,6,1+0,0+1)

https://nomajorkorean.tistory.com/entry/RAID-%EC%A2%85%EB%A5%98-%EB%B0%8F-%EB%B0%A9%EC%8B%9D

 

[OS] RAID 종류 및 방식 (0,1,2,3,4,5,6,1+0,0+1)

R A I D 란? 여러 물리적인 디스크를 묶어서 그룹을 만들어 하나의 논리적인 디스크처럼 사용하는 기술         - 컴퓨터를 구성하는 여러 구성품 중 상대적으로 속도가 많이 느린 하드디스크의

nomajorkorean.tistory.com

 


활용 예시

- 운영 환경에서 데이터 증가에 따라 디스크 용량을 동적으로 조정 (?!)

- 여러 개의 작은 Disk 를 하나의 큰 Logical Volume 으로 통합하여 관리

- 특정 시점 상태로 복원 

 

단점

- LVM 메타데이터 손상 시, 데이터 복구 어려움

 

요약
- LVM 은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환경에서 스토리지의 요구사항이 자주 변경되는(하는)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쓰인다

 


LVM 구성 순서

1. 디스크 준비 및 파티션 생성

- LVM에 사용할 디스크를 선택하고, 해당 디스크를 파티셔닝

- 파티션의 시스템ID를 Linux LVM(코드: 8e) 로 설정
fdisk /dev/sdx

 

2. Physical Volume(PV) 생성

- 물리적 볼륨을 생성 (가장 기본적인 단위)
pvcreate /dev/sdX1

- 생성된 PV 확인
pvdisplay



3. Volume Group(VG) 생성
vgcreate <VG name> /dev/sdX1

-생성된 VG 확인
vgdisplay

4. Logical Volume(LV) 생성
- Volume Group 에서 Logical Volume 생성

lvcreate -L <size> -n <LV name> <VG name>

- 생성된 LV 확인
 lvdisplay



5. 파일시스템 생성(포맷)

- Logical Volume 에 파일시스템을 생성

mkfs.ext4 /dev/<VG name>/<LV name>

6. Mount 및 fstab 등록

- 마운트할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LV를 마운트

mkdir /mnt/<directory>
mount /dev/<VG name>/<LV name> /mnt/<directory>

- /etc/fstab 파일에 등록하여 재부팅 시 자동 Mount 되도록 설정

echo "/dev/<VG name>/<LV name> /mnt/<directory> ext4 defaults 0 0" >> /etc/fstab

 

 

==

요약 순서
1. 디스크 파티션 생성 및 LVM 타입으로 설정

2. PV 생성 (pvcreate)

3. VG 생성 (vgcreate)
4. LV 생성 ( lvcreate)
5. FileSystem 포맷 (mkfs)
6. Mount 및 fstab 등록

==

 

 

 

 

 

계속 까먹네;