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gpass.conf 

- PostgreSQL에서 사용하는 암호화 파일
- DB 접속 시 연결을 자동화 해줌 (패스워드 칠 필요없음, 해당 파일 내에 pg 패스워드를 미리 작성)

ex) psql -Upostgres -dpostgres  로 접속하면 바로 접속됨

 

 

1. 파일 생성 경로

PG 설치시, 자동으로 생성되는 환경파일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생성하여야한다.

 

  • Windows : C:\Users\User명\AppData\Roaming\postgresql\pgpass.conf
  • Linux : ~/.pgpass.conf

2. 파일 권한 수정 필요 (보안상의 이유로 인해 권한 받은 사용자만 pgpass 를 통해 자동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해야한다)

윈도우 - 속성 > 보안 > 사용자별 권한 설정

리눅스 - chmod 로 권한 설정

ex) chmod 600 (only 소유자가 읽기4, 쓰기2 권한)

 

3. pgpass.conf 파일 형식

hostname:port:database:username:password

ex) localhost:5432:postgres:postgres:postgres123

 

hostname : 서버 호스트 네임 또는 IP

port : DB 접속 포트

database : DB 명

username : DB 유저 명

password : 패스워드

 

4. DB 서비스 재기동 후 접속 테스트

C:\Users\최재우>psql -U jwchoi -d jwchoi
unrecognized win32 error code: 1920psql (15.6)
도움말을 보려면 "help"를 입력하십시오.

ontune=#

 

계속 까먹네;